반응형 프로그래밍6 코딩이란? 왜 코드를 짠다고 할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개발자들은 여러 개발 언어를 이용하여 개발작업을 하고 최종적으로 스마트폰의 앱이나 PC의 프로그램을 완성한다. 이때 개발자들이 보통 '코딩'이나 '코드를 짠다'라고 하는데 이 두 의미에 대해서 확실히 알아보자. 코딩(Coding)코딩이란 부호화라고 말하기도 하며, 개발 언어를 이용하여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즉, 개발언어,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프로그램을 만드는 행위, 작업을 의미한다. 코드를 짠다 라고 말하는 이유?코드를 짠다고 말하는 이유는 코딩의 역사와 관계가 있다. '짜다'라고 하는 동사는 실을 엮어 직물을 만드는 행위라는 의미가 있다. 최초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기계 중 하나는 1800년대 초반 조제프 마리 자카르 라는 사람이 만.. 2025. 3. 5. 데이터베이스(DB)란?, DB와 DBMS 차이, SQL이란 데이터베이스(DB : Database)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목적에 따른 데이터(data)들의 집합체를 말한다. 데이터베이스는 DBMS를 통해 생성하여, 응용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데이터를 저장, 조회, 수정, 삭제를 할 수 있어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더 나아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러 분석도 가능하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 Relational Database)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2차원의 테이블 형태(행과 열)로 정의하고 구성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각 데이터 간 관계설정, 데이터 무결성 유지 등의 여러 장점이 있어 현재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는 RDB로 구축되어 있.. 2024. 5. 26.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란?, 범용 고유 식별자란?, 생성방법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 범용 고유 식별자UUID는 128비트 길이의 숫자, 32자리의 16진수로 이루어진 값으로, 세상 어디에서도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고유의 값이다. 네트워크상에서 서로 모르는 개체들을 식별하고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글로벌 표준 프로토콜인 rfc4122의 표준을 따른다. 쉽게 말해 중복되지 않는 고유의 값을 생성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개체들을 식별하고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완벽하게 고유한 값은 아니며, 1조 개의 UUID 중 중복이 발생될 확률은 10억 분의 1이다. *rfc4122 - 네트워크 상에서 고유성이 보장되는 ID 및 값을 만드는 표준 규약, 프로토콜 형식UUID는 다음과 같이 32개의 16진수.. 2024. 5. 16. 인터프리터 컴파일러 차이, 어셈블리어란? 프로그래밍 언어의 작동방식C언어, 자바, 파이썬, C++, C# 등과 같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개발자는 코드를 작성한다. 이러한 코드들은 컴퓨터가 이해하는 저수준 프로그래밍 언어인 어셈블리어로 변환을 거치고, 다시 기계어로 번역되어 최종적으로 실행된다. *저수준 프로그래밍 언어 -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프로그래밍 언어*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 사람이 이해하고 작성하기 쉬운 높은 추상화 수준의 프로그래밍 언어*기계어(Machine Language) - 컴퓨터가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 이때 사용되는 두 가지 방식이 바로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 방식이다. 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어셈블리어는 컴퓨터와 직접적으로 소통이 가능한 .. 2024. 4. 28. 이전 1 2 다음 반응형